반응형

2022/08 4

초어

초어는 한문 표기로 草魚, 학명은 Ctenopharyngodon idellus인 잉어목, 잉어과 초어아과로 분류되는 중국이 원산지인 민물고기이다. 초어란 뜻은 풀을 먹는 물고기란 의미이다. 원래 살던 서식지는 큰 강에서 이어지는 호수 군에서 서식하는 생태를 가진다. 중국에서는 '백연어’(白鰱), ‘흑연어’(黑鰱), ‘청어’(靑魚)와 함께 중국 “사대 가어”(四大家魚)라고 불린다. 특히 중국 남부지역에서 다른 사대 가어와 함께 농업과 유기적으로 결합된 전통적인 양어 시스템으로 양식되었고 농촌 지역의 중요한 식재료가 되어 왔다. 원산지는 아시아 대륙 동부로서, 중국을 비롯하여 인도차이나, 라오스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양식하였으며, 자원 증식이나 양식을 목적으로 일본이나 한국에 도입되었다. 우..

수생물 2022.08.25

꺽정이

꺽정이는 쏨뱅이목 둑중개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학명은 Trachidermus fasciatus (Heckel, 1837)이다.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맛있는 물고기로 알려져 ‘송강지로(松江之鱸)’로 라고 불리며 널리 알려져 있었다. 옛 문헌인 유희(柳僖)의『물명고』에 보면 ‘노(鱸)’를 한글로 ‘걱졍어’라고 되어 있다. 다른 문헌인『임원십육지』에는 ‘노’를 ‘거억졍’이라고 적고, “노(盧)는 흑(黑)인데 물고기의 빛깔이 검어서 노(盧) 자를 따라 노(鱸)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또 “그 맛이 아주 좋으며, 하늘이 마련해 준 횟감”이라고 나와 있다. 꺽정이를 '노' 또는 '노어'라고 하는 것은 중국식 표기로, 우리나라에서는『아언각비』에서 농어를 ‘노어’라고 한 것과 같이 농어를 노어라 하였으므로 『세종실록 ..

수생물 2022.08.17

드렁허리

드렁허리는 드렁허리과의 민물고기로 학명은 Monopterus albus (Zuiew, 1793)이다. 주 서식지는 진흙이 많은 논이나 호수 등에 살며, 주둥이만 물 밖에 내놓고 공기호흡을 한다. 자라면서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을 바꾼다. 우리나라 외에 일본·타이완·중국·보르네오섬·타이·자바섬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선 고급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 드렁허리는 옛 문헌에 보면《훈몽자회》라는 책에는 드렁허리 선(鱔)이라 하고 선(鱓)으로도 쓴다 하였다. 다른 자료에는《향약집성방》에 선(鱓)을 우리말로 '동을람허리(冬乙藍虛里)', 《우해이어보》에 기내(畿內:서울을 중심으로 한 행정구역 안)에서는 ‘웅어(熊魚)’라 하고, 호서·호남에서는 농요어(壟腰魚)라 한다고 하였다. 《난호어목지》에 ‘황선(黃鱓)..

수생물 2022.08.09

끄리

끄리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잉어과 중에서도 육식어종으로써 특히 먹성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학명은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Berg, 1932)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치리, 칠어, 날피리 등으로 불리며 영어로는 코리안 피시버러스 첩(Korean piscivorous chub), 일본어로 고라이 하스(コウライハス), 중국어는 馬口魚이다. 옛 문헌인『임원경제지』에 보면 '칠어'라는 물고기가 나오는데, 한글로는 ‘치리’라 쓰고, ‘어희’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하였으며, 칠어의 형태를 “등은 누렇고 배는 희다. 입술은 산자형(山字形)을 이루고 있고, 상하 입술은 철요(凸凹)가 서로 끼워져 개의 이빨과 같다. 큰 것은 한 자가 더 되고, 작은 것은 5, 6치 정도이다..

수생물 2022.08.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