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05

망둑어(망둥어)

망둑어는 망둥어과에 속하는 모든 어류를 말하는데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 많은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 망둑어과는 농어목의 한 과인데 망둑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를 ‘망둑어’ 또는 ‘망둥어’등으로 부른다. 물고기 과 중 가장 종류가 많은데, 200여 속에 2000여 종에 이른다. 우리나라에는 문절망둑·말뚝망둥어·날망둑·갈문망둑·짱뚱어·도화망둑·사백어·밀어 등의 50여 종이 산다고 알려져 있다. 말뚝망둥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말뚝망둑어'로 수록되었지만, 국가 생물종에 있는 목록에는 '말뚝망둥어 속'에 속하는 '큰볏말뚝망둥어'와 '말뚝망둥어' 두 종만 '망둑'이 아닌 '망둥'이라는 명칭을 갖고 있다. 그중에 생물의 명칭이므로 국어사전보다는 환경부에서 정한 명칭이 우선한다. 대부분의 망둑어가 해변과 가까운 얕은 ..

수생물 2022.03.07

대하

대하는 우리나라 인근에서 사는 새우의 일종으로 몸집이 큰 새우라는 뜻의 대하(大蝦)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하지만 '대하'라는 건 큰 새우라는 의미도 있지만 종류에 무관하게 붙는 이름이 아니라 국내에 서식하는 새우 종류의 이름이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는 대하의 생김새에 대해 설명하고 '맛이 매우 달콤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어로는 ‘타이쇼에비(タイショウエビ)’인데 타이쇼 시대부터 많이 잡힌 새우라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대하의 새끼를 중하나 소하라고 부르지 않으며, 흰 다리 새우가 크다고 해도 대하라고 부르지 않는 경우이다. '대하'의 현재 학명은 Fenneropenaeus chinensis으로 이전에는 Penaeus chinensis 또는 Penaeus orientalis로 불리기도 하였다..

수생물 2022.02.28

학공치

동갈치목 학공치과의 바다 어류로서 학명은 Hemirhamphus sajari TEMMINCK et SCHLEGEL이다. 비슷한 이름의 꽁치와는 과부터 다른 종이다. 표준어는 "학공치", "학꽁치" 둘 다 쓰인다. 체형은 꽁치처럼 미끈하지만 채색이 은빛이며 아래턱이 길게 돌출되어 있다. 주둥이가 학의 주둥이처럼 생겨서 학꽁치라고 불린다. 일본명인 "사요리"가 초밥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익숙한 이름이다. 옛 문헌에 보면『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에는 "홍시" 라는 말이 보이는데 학꽁치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 보면, "홍시"는 상비어(象鼻魚)인데 본토박이는 이를 곤치(昆雉)라고 부른다고 하고, 새부리와 같은 부리가 있다고 설명한 뒤 회를 쳐서 먹으면 아주 좋다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른 문헌인『자산..

수생물 2022.02.21

묵납자루

묵납자루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학명은 Acheilognathus signifer BERG이다. 우리나라의 토종 물고기로 한강 이북에 분포하며, 2012년에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몸의 형태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가 높다. 우리나라의 한강·임진강·대동강 지역에 분포하는데 하천의 흐름이 완만하거나 또는 여울과 여울이 이어진 곳의 물살이 느리고 수풀이 우거진 깊지 않은 개울이나 저수지에 주로 서식한다. 주로 모래, 진흙과 자갈이 섞인 지형에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동물성과 식물성 먹이를 두루 먹는다. 산란기는 5∼6월로 담수산 조개의 새강에 알을 낳는다. 지역 : 서울, 청평, 춘천, 화천, 양구, 인제, 원통, 여주,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평양, 성천, 회양 수계 : 한강..

수생물 2022.02.14

베도라치

베도라치라는 종은 학명으로 Pholis nebulosa로 불리며 농어목 황줄베도라치과이다.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거제에서는 '뻬드라치'라고 부르며 여수에서는 '뽀드락지', 서해에서는 '병아리'등으로 불린다. '뱅어'는 하얀색의 어린 베도라치를 상인들이 부르는 말이라고 한다. 서식지는 조간대의 수심 20m 정도의 바위틈에서 서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북서태평양 지역에서 보이며 한국, 일본, 사할린 섬 주변, 중국 북부 등지에서 보인다. 몸의 형태는 몸은 가늘고 긴 리본 형태이며 머리와 함께 옆으로 납작하게 생겼다. 머리는 작은 편이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게 튀어나와있고 뒤끝은 눈부분의 앞가장자리 아래에 이른다. 양 턱에는 짧은 이빨이 촘촘히 있다. 배지느러미는 짧으며 흔적적인 연조를 가진다..

수생물 2022.02.07

보리멸

보리멸은 극기상목 농어목 보리멸과 보리멸속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이다. 보통 모래사장, 항구, 방파제 근처 등의 바다에서 흔한 어종으로 잡기도 쉬워서 잡어로 취급하기도 한다. 마산 지역에서는 모래바닥에 사는 망둑어라는 뜻의 '모래문저리'라고 불리며,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모래무찌', 경상남도에서는 '모래무치, 밀찡이, 밀징이'등으로, 경상북도에서는 '보리메레치', 울산에서는 '갈송어', 제주에서는 '모살치, 고졸맹이'라고 불린다. 우리나라 동해 남부와 남해 및 제주도등에 살며, 중국 동부와 남부, 일본 남부, 동남아시아, 인도양, 아라비아해, 홍해, 동아프리카, 지중해, 오세아니아에 걸쳐서 널리 분포하는 어종이다. 주로 바다 밑바닥에 살며 지역에 따라 모래무지라고 불리는데 민물고기 모래무지와는 당연하게도 다..

수생물 2022.01.31

오징어

오징어라는 이름은 '까마귀 잡아먹는 도적'이란 뜻을 뜻하는 말의 ‘오적어(烏賊魚)’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바다 위에 먹물을 뿜어 대며 떠 있는 오징어를 까마귀가 물에 내려왔다가 오징어를 쪼아 대자 재빠르게 긴 두 다리로 물속으로 끌고 들어가 버렸다는 얘기에서 나온 이름이라고 한다. 영문으로는 'Squid'라고 한다. 비슷한 종류로는 문어류가 있고, 종류로는 살오징어, 한치, 꼴뚜기, 갑오징어가 있다. 타우린의 함량이 다른 어패류에 비해 2-3배나 많으며, 단백질이 풍부한 오징어는 겨울이 제철로 회, 구이, 무침, 탕 등 다양하게 조리되는 대중적인 수산물이다. 오징어는 특유의 쫄깃쫄깃하게 씹히는 것을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이 무척 즐겨 먹는 식재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의 울릉도와 속초 근해에서 가장 ..

수생물 2022.01.24

흰동가리(니모)

흰동가리는 자리돔과 흰동가리아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전 세계적으로 27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Amphiprion clarkii종이 있다. 몸의 체색을 보면 빨강 혹은 주황과 흰색의 배열이 어릿광대 분장처럼 보인다고 하여 서양에서는 "클라운피시(clown fish)" 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선 그대로 번역해 '광대어'라고도 부른다. 말미잘(sea anemone)과 더불어 살아 '아네모네피시'라고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몸을 가로지르는 흰색의 세로줄을 보고 흰동가리라고 부른다. 흰동가리는 주로 열대와 아열대 해역에서 살아가며 한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 및 폴리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아프리카 동부 연안, 홍해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가끔 발견되기도 한..

수생물 2022.01.17

참중고기

참중고기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학명은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Mori, 1927)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주로 맑은 하천이나 저수지의 물풀이나 돌 밑에 숨어 사는데, 잘 놀라는 특성으로 소리가 나면 수초나 돌 밑에 잘 숨는다. 그 각계 지역을 보면 지역으로는 청평, 여주, 양평, 원주, 온양, 강경, 금산, 대천, 완주, 전주, 순천, 대구, 김해, 회양, 안동, 밀양, 산청, 무주, 진안, 임실, 남원, 보성, 하동 등이 있고 수계로 보면 북한강, 남한강, 한강, 안성천, 삽교천, 금강, 만경강, 동진강, 탐진강, 보성강, 섬진강, 남강, 낙동강, 밀양강, 영산강 등이 있다. 외형적 특징..

수생물 2022.01.10

거북복

분류학상 참복과 와 더불어 복어목에 속하는 어류에 거북복아목 거북복과에는 거북복·뿔복이 있고, 육각복과의 육각복이 알려져 있다. 거북복은 복어과목 거북복과 물고기로 일본명은 Hakofugu이다. 개체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25cm 정도이며 최대 40cm 이상으로 큰다. 몸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통통하고 둥글며 대체적으로 네모난 모양이다. 몸 표면은 양 턱, 꼬리, 모든 지느러미를 제외하고 육각형의 밀접된 굳은 비늘로 덮여 있다. 등면과 배 쪽에 각각 세로로 한 쌍의 융기된 선이 있으며 횡단면은 배 부분이 가장 크다. 입은 몸 전체 비율적으로 작고 입술은 두툼하게 생겼다. 몸의 각 비늘에는 가시가 없으며, 배지느러미가 없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보다 더 뒤쪽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는 꼬리 자루 가까이에 있..

수생물 2022.0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