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생물 104

참갈겨니

참갈겨니는 갈겨니와 동일한 종으로 분류되다가, 2005년 분류되었다. 학명은 Nipponocypris koreanus이며 잉어목 잉어과의 한국 고유종 민물고기이다. 우리나라에선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금강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하천에 서식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왕산이, 왕눈이, 능금피리라고도 한다. 참갈겨니는 하천 중상류의 물의 속도가 빠른 여울에 살며, 상류 계곡까지 올라가면서 주로 물속에 사는 곤충을 먹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8월이다. 주 서식지는 금강 본류와 남대천, 남대천의 상류 하천인 적상천과 원당천, 무주 구천동 계곡 등 무주군의 모든 하천에 서식한다. 한국 고유어종으로 한강, 임진강, 금강, 섬진강과 동해로 흐르는 하천 등 전 지역에 분포한다. 2005년까지 갈겨니와 같은 한 종으..

수생물 2022.07.26

꾹저구

꾹저구는 농어목 망둑엇과의 민물고기로 학명은 Gymnogobius urotaenia이며 한국 고유종으로 최대 15cm 정도 자란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같은 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날망둑(C.castaneus), 살망둑(C.heptacanthus), 왜꾹저구(C.macrognathos), 얼룩망둑(C.mororanus) 등이 있다.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부르는데, 강릉지역에서는 `꾹저구'로, 양양에서는 `뚜거리', 고성에서는 `뚝저구', 삼척에선 `뿌구리' 또는 `꾸부리'등으로 불린다. 이름의 유래를 보면 1580년에 강원도 관찰사로 '송강 정철'이란 분이 이 지역을 돌아보던 중 바람이 심하게 불어 출어를 하지 못해 대접할 어물이 없었다고 한다. 이때 현감이 민물고기탕으로 식사를 대접하였는데, '송강'은 ..

수생물 2022.07.19

남방큰돌고래

남방큰돌고래는 다 자라면 최대 2.7m, 체중 230kg까지 크는 중형 돌고래로 영어로는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학명은 Tursiops aduncus이다. 1998년까지는 큰돌고래속(병코돌고래속) 종으로 큰돌고래(bottlenose dolphins)가 유일한 것으로 여겨지다가, 1998년에 남방큰돌고래가 별도의 종으로 인정받았다. 남방큰돌고래가 커먼큰돌고래보다는 알락돌고래 속(Stenella)과 참돌고래 속(Delphinus), 특히 대서양알락돌고래(S. frontalis)와 더 밀접하다고 추정하는 증거도 있다고 한다. 생김새로는 길고 매끈한 유선형의 체형을 하고 있으며 머리는 둥글며, 주둥이는 도드라지게 튀어나와 있습니다. 등 쪽은 어두운 회색이고 배 쪽은 등 쪽보다..

수생물 2022.07.12

점농어

점농어는 농어목 농어과의 물고기로 학명은 Lateolabrax maculatus로 90년대 중반까지 농어와 같은 종으로 알려졌었다고 한다. 농어와 유사하지만 어린 개체 일 때에는 등 쪽의 점이 농어보다 크고 그 수가 적다. 주요 서식지는 우리나라 각 연안, 그중에서 전남, 서해안 지방에 많이 서식하며, 남해안과 동해안은 드물다. 일본은 양식장에서 도망쳐 나온 개체들이 Ariake Sea, 나가사끼 이남 등지에서 보이며, 중국은 각 연안,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농어에 비해 담수에 더 잘 적응하며 성숙과 산란이 해수와 담수 모두에서 가능하다고 한다. 현재 양식 대상 종으로 개발 중에 있다. 최대 1m까지 자란다고 한다. 몸의 형태는 길고 측편되게 생겼으며, 입은 크고 뾰족한데 위턱의 뒤끝은 눈 뒷가장..

수생물 2022.07.05

미유기(산메기)

미유기는 학명 Silurus microdorsalis (Mori, 1936)로 메기목 메기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몸의 앞부분은 원통형으로 생겼으며 뒤로 갈수록 수직 방향으로 납작한 형태이다. 전체 몸길이는 최대 35cm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눗메기 또는 산 메기, 실 메기로도 불린다. 평균 몸길이는 15∼25cm 정도이며 몸의 형태는 메기보다 가늘고 길며 작은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고 주둥이 모양은 위쪽에서 보면 직선형이고 아래턱이 튀어나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넓적한 모양이다. 원통 모양의 몸을 하고 있으며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고 길게 생겼다. 몸의 체고는 등지느러미가 시작하는 곳 주변이 가장 높다. 작은 눈은 머리 위쪽으로 비스듬히 나 있는데 ..

수생물 2022.06.28

틸라피아(역돔)

틸라피아는 잉어목 시클리과의 민물고기로 전 세계에서 양식되는 어류 중 가장 많이 되는 종류 중 하나이다. 원산지는 아프리카의 케냐 남부에서 남아프리카까지 지역으로 현재는 아프리카 전역을 비롯해서 전 세계 각국에 양식 대상종으로 많이 퍼졌다. 기록에 의하면 틸라피아 양식은 고대 이집트 시대인 2,000년도 더 전에 이미 행해졌다고 한다. 틸라피아는 전 세계적으로 100여 품종이 있으며, 친환경 물고기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중에 모잠비크 틸라피아와 나일 틸라피아 종이 식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잘 조성된 환경에서 양식한 틸라피아는 야생종보다 풍미가 좋으며, 미국에서 인기가 매우 높으며, 중앙과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양식하여 수출한다고 한다. 틸라피아는 전체 몸길이가 60cm 정도이고 몸무게는 4.3kg이다. ..

수생물 2022.06.21

가시고기

가시고기는 큰 가시고기목 큰 가시고기과의 민물고기이며 학명은 Pungitius sinensis이다. 1년생의 육봉형 소형 어류로 산란기에 둥지를 만들고 알과 새끼를 보호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주 서식지는 형산강 이북의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 중류와 하류의 물이 맑은 곳이다. 그 외에도 충청북도 제천시의 의림지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나, 빙어 방류 시 함께 유입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사할린섬·쿠릴열도·일본(북부) 등지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하천 정비와 오염 등의 이유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어 환경부에서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또한 세계 자연보전 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도 취약종(VU: Vulnera..

수생물 2022.06.14

다묵장어

다묵장어는 칠성장어 목 칠성장어과의 민물고기로 학명은 (Lethenteron reissneri)이다.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었으며 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 적색목록 관심대상으로 등록되어 있다. 지역에 따라 칠성고기·칠성뱀·칠공쟁이·칠성어·땅패기·울리·구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다묵장어는 턱이 없고 입이 둥근 빨판 형태로 된 원시 어류로써 독특한 유생 시기를 지나 성체로 변태 한다. 괴이한 형태와 독특한 유생 시기를 거치는 다묵장어는 우리나라에 사는 물고기 중에 가장 이상한 종 중에 하나이다. 칠성장어 과에 속하는 원시 형태의 물고기로, 턱이 없고 입이 둥근 빨판 형태로 되어 있어서 '무악류'(턱이 없는 종류) 중에서도 '원구..

수생물 2022.06.08

강준치

강준치는 잉어목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바다에 사는 준치와 모습이 비슷하다. 학명으로는 Erythroculter erythropterus로 불린다. 주로 서해로 흐르는 큰 강에 분포하며 물살이 느린 곳에서 산다. 옛 문헌 인《재물보》와 《물명고》에 보면 '백어(白魚)'라 하였고 바다에 사는 준치와 모습이 비슷하다고 소개되었다. 예로부터 식용으로도 이용되었으며 시나 그림 등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는 강우럭, 물준치, 민물 우럭, 백다라미, 변대, 앙어, 연왕어, 우데기, 우럭, 우럭이, 입쟁이, 준, 준어, 준치 등으로 불리며 일본에서는 '가와히라'라고 불린다고 한다. 분포지역으로는 우리나라의 주로 서해로 흐르는 큰 강(한강, 금강, 임진강 등)에 분포하며, 중국, 대만에도 서식하고..

수생물 2022.05.31

황어

잉어목 잉어과의 물고기로 학명은 Tribolodon hakonensis이다. 잉어과 어종 중에서 유일한 2차 담수어인데, 대부분을 바다에서 보내고 산란기에 강으로 돌아온다. 강에서는 3월에 잠깐 잡히며 회, 매운탕 등으로 먹는다. 다른 이름으로는 강원도에서는 '황사리', 경북에서는 '밀하'라 불린다. 일본에서는 우구이(ウグイ)로 불린다. 비슷한 어종으로 대황어가 있다. 황어는 오래전부터 즐겨 먹었던 물고기로 옛 문헌인『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에는 양산군의 토산 공물에 은어와 함께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양산군의 토공과 영천군·거제군의 토산품에 들어 있었다고 한다. 분포지역으로는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 동북부, 연해 지방, 시베리아 등지에 서식한다.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며..

수생물 2022.05.24
반응형